주변관광지

주변관광지

남해12경은 남해지역 관광의 대표격으로 아름다운 자연경관을 자랑하고 있습니다.
떠오르는 남해 시대의 중심지 '보물섬사계수목원'가 관광객들의 각광을 받고 있습니다.

남해금산과 보리암

683년 원효대사가 이곳에서 초당을 짓고 수도하면서 관세음보살을 친견한 뒤로 산 이름을 보광산, 초당 이름을 보광사라고 했다. 훗날 이성계가 이곳에서 백일기도를 하고 조선 왕조를 열었다는데, 그 감사의 뜻으로 1660년 현종이 이 절을 왕실의 원당으로 삼고 산 이름을 금산, 절 이름을 보리암으로 바꿨다. 금산의 정상에 자리 잡고 있는 보리암은 금산의 온갖 기이한 암석과 푸르른 남해의 경치를 한눈에 볼 수 있는 아름다운 절이다. 경내에는 원효대사가 좌선했다는 좌선대 바위가 눈길을 끌며, 부근의 쌍홍문이라는 바위굴은 금산 38경 중의 으뜸으로 알려져 있다.

남해보물섬 전망대

남해보물섬전망대는 대한민국 최남단 남해를 아름답게 비추는 등대의 모습을 형상화한 건축물이다.
내부에서 바라보는 바다의 모습은 초호화 고급 크루즈를 탄 듯한 느낌으로 국내에서는 찾아보기 힘든 360° 파노라마 바다 조망을 자랑하고 있다. 2층의 클리프워크는 국내 최초로 유리로 된 하늘길을 직접 걸어보며 절벽 위 수려한 남해 바다 조망을 한눈에 내려다볼 수 있고, 아름다운 남해의 일출, 일몰, 월출을 감상할 수 있다.

다랭이마을

달빛이 비치는 환상적인 밤바다와 꾸미지 않은 아름다움으로 탁 트인 바다를 원 없이 바라볼 수 있는 평산마을에서 숙호마을까지 이어지는 총 15㎞ 남짓의 남면해안도로는 서해나 동해에서는 느낄 수 없는 남해바다만의 매력이 배어있다. 남해의 해안도로는 서해나 동해처럼 광활한 느낌이 아닌 곡선의 좁은 길이기에 운행은 더욱 아슬아슬하기도 하나 느릿느릿 가면서 만나게 되는 올망졸망한 풍경과 남해바다의 윤슬은 더 애틋하다.
한편 남면 평산리 888-4번지에는 ‘비밀의 정원’이라 불리는 경상남도 민간정원 1호인 섬이정원이 자리하고 있으니 드라이브하다가 살짝 핸들을 돌려 정원 속으로 숨어드는 것도 낭만적인 데이트가 되지 않을까 감히 추천해본다.

남해관음포이충무공유적

남해사람들에게는 그리움의 상징인 660m 길이의 붉은 대문, 남해대교에서 섬의 한가운데를 향해 4㎞ 들어오면 관음포만의 초입에 조성된 사적 제232호 관음포 이충무공 전몰유허가 있다.
국가지정문화재인 이곳은 임진왜란의 마지막 격전지로 유명한 ‘노량해전’을 치르다 비장하게 전사한 이순신(李舜臣) 장군의 전몰터로 장군의 호국(護國)ㆍ애민(愛民)정신이 머물러 있는 순국의 곳이다.
특히 일몰이 아름답기로 유명한 이곳 관음포 이충무공 전몰유허지는 남해대교와 충렬사, 관음포이충무공유허로 자연스레 이어지는 삼각의 꼭짓점 같은 곳이다.

독일마을

보물섬 남해 속에 둥지를 튼 작은 독일, ‘남해독일마을’은 1960년ㆍ70년대(1963~1977) 머나먼 이국땅 독일 탄광과 병원으로 가서 생활하면서 조국 근대화를 이끌어 낸 파독 광부와 간호사들의 고국 정착을 위해 그들이 살아온 독일을 따뜻한 대한민국의 남쪽 보물섬에서 느끼며 살 수 있도록 조성한 그리움의 종착역 같은 곳이다.
독일마을 조성은 1997년 한국 최초로 사계절 푸른잔디구장을 남해군에 조성하면서 그 잔디를 수입한 독일 노드프리슬란트군과 자매결연 과정에서 도움을 준 베를린과 함부르크 교민들이 한국정부에 독일마을을 조성해달라고 부탁하면서 역사가 시작되었다.

원예예술촌

‘한국손바닥정원 연구회’를 주축으로 모인 20명의 원예전문가들이 중심이 되어 각자의 집과 정원을 개인별 작품으로 조성해 이룬 아름다운 정원 마을이다.
원예(園藝)라는 말에서 알 수 있듯 계절마다 정원마다 다양한 화초를 비롯한 채소, 과일까지 각양각색의 모양과 형태로 예술적으로 빚어놓은 이곳 원예예술촌은 뉴질랜드풍의 토피어리정원, 스페인풍의 조각정원, 네덜란드풍의 풍차정원, 프랑스풍의 풀꽃지방과 스위스풍의 채소정원 등 여러 나라의 정원을 살펴보는 재미로 눈이 즐겁다.
독일과 스페인, 스위스 등 유럽 여러 나라의 분위기를 풍기는 예쁜 집들과 작지만 아기자기한 각 나라 정원들이 어우러진 원예예술촌은 산책 삼아 천천히 걸으면서 다양한 풍경을 즐기기에 딱 좋은 정원마을이다.

사촌해수욕장

683년 원효대사가 이곳에서 초당을 짓고 수도하면서 관세음보살을 친견한 뒤로 산 이름을 보광산, 초당 이름을 보광사라고 했다. 훗날 이성계가 이곳에서 백일기도를 하고 조선 왕조를 열었다는데, 그 감사의 뜻으로 1660년 현종이 이 절을 왕실의 원당으로 삼고 산 이름을 금산, 절 이름을 보리암으로 바꿨다. 금산의 정상에 자리 잡고 있는 보리암은 금산의 온갖 기이한 암석과 푸르른 남해의 경치를 한눈에 볼 수 있는 아름다운 절이다. 경내에는 원효대사가 좌선했다는 좌선대 바위가 눈길을 끌며, 부근의 쌍홍문이라는 바위굴은 금산 38경 중의 으뜸으로 알려져 있다.

남해대교와 남해충렬사

제주도, 거제도, 진도에 이어 우리나라에서 네 번째 큰섬. 창선·삼천포대교 개통 이전까지 남해의 관문은 동양 최대의 현수교라 불렸던 남해대교이다. 남해대교는 길이 660m, 높이 80m의 아름다운 현수교로 1973년 개통된 지 수십 년이 지난 지금도 우리나라에서 가장 아름다운 다리로 일컬어지고 있다. 남해대교가 가로지른 노량해협의 거센 물살은 남해의 역사를 고스란히 간직한 산 증인이요, 역사의 마당이었다. 임진왜란의 마지막 전투인 노량해전이 시작된 곳이었으며, 또 고려에서 조선시대에 이르는 무수한 유배객들이 자신의 적소로 건너오기 위해 나룻배를 탔던 한맺힌 곳이었다. 남해대교가 놓여지기 전, 남해사람들은 나룻배를 타거나 도선으로 노량의 물살을 가로질러 다녀야 했지만 남해대교 개통 이후부터는 승용차로 1~2분이면 거뜬히 물을 건넌다. 남해를 육지와 연결한 남해대교를 건너면 벚꽃터널이 반긴다.

Our Invitation

" 자연과 예술이 함께하는 공간에
여러분을 초대합니다. "

운영시간

오전 9:00 ~ 일몰시까지

입장은 폐장 1시간전까지 가능합니다.

문의전화

010-4563-2131